삼성노조연대 “임금 6.8% 인상·성과급 제도 개선”…공동교섭 제안
페이지 정보

본문
삼성전자를 비롯한 삼성그룹 8개 기업의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산하 노조들이 처음으로 공동 요구안을 마련해 삼성에 교섭을 요청했다.
삼성그룹노동조합연대(금속삼성연대)는 8일 서울 한국노총 대회의실에 모여 기자회견을 열고 삼성그룹 내 노조로는 최초로 공동요구안을 발표했다. 연대에는 △전국삼성전자노조 △삼성디스플레이노조 △삼성웰스트리노조 △삼성화재애니카손해사정노조 △삼성화재노조 △삼성SDI울산노조 △삼성생명직원노조 △삼성에스원참여노조가 포함됐다.
공동 요구안의 주요 내용으로는 △2021년도 임금 6.8% 인상 △인사 및 평가제도 개선 △목표인센티브(TAI) 및 성과인센티브(OPI) 제도 개선 △통상임금 정상화 △정년 만 60세 연말 보장 및 임금피크 폐지 등 5가지다.
특히 이번 요구안에서 연대는 삼성그룹의 ‘초과이익성과급’(OPI) 등 성과급 제도에 대해 “기준과 지급 방식이 불투명하고 모호하며 OPI는 노동자에게 불리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최근 삼성전자 등 일부 대기업에서는 성과급 산정 방식 등을 둘러싼 내부 갈등이 불거졌다.
연대는 “순차적으로 성과급보다 고정급 중심으로 임금체계 개편을 추진할 것”이라며 “다만 전 사원의 뜻을 모아 성과급이 필요하다면, 더욱 공정하고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지급 기준과 산정 방식을 투명화하고 지급 기준의 변경을 모색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삼성이 노조연대의 공동교섭에 응할지는 미지수다. 같은 그룹 내에서도 각 노조마다 업종과 환경이 달라 공동요구안대로 노사가 합의에 이르기까진 어려움이 예상된다.
연대는 “같은 삼성이지만 서로의 사업장에서 권리를 찾기 위해 투쟁해왔으나 최종 도달한 결론은 개별·산별적으론 삼성이란 거대 자본을 상대할 수 없다는 것”이라며 “업종 차이를 뛰어넘어 금속노조로 뭉치기로 결의하고 공동교섭을 요구하는 자리에 함께 섰다”고 강조했다.
출처 : 이데일리, 2021년 2월 8일 월요일, 저자 : 최정훈 기자
- 이전글특정 노조 간부만 '수당 특혜' 받는다...현대모비스 협력사 갈등 불씨 21.02.10
- 다음글임단협 부결·근로자 사망사고 현대重 노사관계 '먹구름' 21.02.0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