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우체국 프리랜서 운송기사 근로자성 ‘인정’ 판결
페이지 정보

본문
우체국에서 정규직으로 일하다 퇴직한 근로자와 프리랜서 계약을 맺었더라도 종속적인 관계에서 근로를 제공했다면 근로자성이 인정된다는 법원 판결이 나왔다. 1심에 이어 2심도 같은 판단을 했다.
15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고등법원 제1-2민사부(재판장 이양희)는 지난 2월 19일 우체국에서 퇴직 후 우체국물류지원단과 위탁운송계약을 맺고 일한 운송기사 A 씨 등 9명이 우체국물류지원단을 상대로 낸 퇴직금 지급 청구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했다.
A 씨 등은 우체국에서 정규직으로 일하다 퇴사한 뒤 우체국물류지원단과 운송위탁계약을 맺고 프리랜서 운송기사로 일했다. 이들은 월요일부터 금요일 또는 토요일 오전까지 정기운송업무를 담당했다.
우체국 정규직 근로자들 중 결원이 발생하면 임시운송업무를 수행했고 선거철에는 선거우편물 특별운송업무도 담당했다. A 씨 등은 운송차량에 우체국 마크를 달고 명찰도 부착했다.
A 씨 등은 자신이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한다며 퇴직금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1심과 2심 모두 근로자성을 인정했다. 법원은 A 씨 등이 우체국의 지휘ㆍ감독하에 종속적인 관계에서 근로를 제공했다고 봤다.
우체국은 A 씨 등에게 업무 지시와 근태 관리를 했다. 재판부는 "우체국이 A 씨 등에게 구체적인 출근시간, 운송구간을 지정해 왔다"며 "A 씨는 정규직 근로자와 마찬가지로 복무실적표에 근태를 기록하고, 배송지 출발ㆍ도착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입력하게 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A 씨 등이 일을 쉬기 위해서는 우체국에 사전 윤휴신청서를 내야했고 업무 대체자를 우체국이 지정했다"며 "우체국의 업무 지시와 근태관리가 인정된다"고 했다.
이어 우체국이 A 씨 등을 관리ㆍ감독한 점도 인정했다. 재판부는 "프리랜서 운송기사들이 사전 통보 없이 연 2회 이상 운송 지연 시 위탁계약을 해지했고, 운송기사들은 이의제기가 불가능했다"며 "고객 만족 설문을 통해 근로자 개인을 평가하고 보상으로 상품권 지급해 왔다"고 했다.
그러면서 "A 씨 등이 업무를 다른 운송기사에게 아웃 소싱할 수 없었고 운송 차량에 다른 운송물을 적재할 수 없었다"며 "A 씨 등의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성이 인정된다"고 판단했다.
법원은 우체국이 A 씨 등에게 지급한 운송료가 임금이라고 봤다. 재판부는 "우체국이 A 씨 등에게 실적과 관계없이 운송료를 지급했고 프리랜서 운송기사들이 개인의 의지로 운송량을 늘리는 것이 불가능했다"며 "운송료가 근로의 대가인 임금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A 씨가 사업자 등록을 하고 사업소득세를 납부했지만 법원은 이것만으로 근로자성이 부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봤다. 재판부는 "사업자 등록을 했지만 이는 우체국이 우월한 지위에서 임의로 정한 것"이라며 "이것만으로 근로자성을 부인할 수 없고 우체국물류지원단에 퇴직금 지급 의무가 인정된다"고 했다.
출처 : 이재헌 기자, 법원, 우체국 프리랜서 운송기사 근로자성 ‘인정’ 판결, 월간노동법률, 2025년 4월 15일
- 이전글사무직이 창고 보수하다 심장마비 사망, 법원 “산재” 25.04.21
- 다음글대법 “인사 차별로 인한 임금 불이익도 하나의 계속된 부당노동행위” 25.04.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