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지급의무 넘겼어도...“밀린 임금, 근로계약 체결한 업체가 줘야”
페이지 정보

본문
임금 지급 의무를 다른 업체에 넘겼다 해도 근로계약을 체결한 업체가 밀린 임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법원 판결이 나왔다.
24일 대한법률구조공단에 따르면 대전지법 서산지원 태안군법원 강문희 판사는 일용직 근로자 A 씨 등 7명이 건설업체 B 사를 상대로 낸 임금 지급 소송에서 원고승소 판결했다.
A 씨 등은 2019년 2~9월부터 B 사가 수행하는 건설공사 현장에서 일했다. B 사는 2020년 1월 관련 공사를 중도 포기하고 원도급업체에 넘겼다. 이때 미지급 임금에 관한 의무도 넘기는 내용의 정산합의서를 작성했다.
A 씨 등은 같은 해 2월 공사현장을 떠나게 되면서 B 사에 그동안 밀린 휴업수당과 퇴직금을 요구했다. B 사는 임금 지급 의무가 도급업체에 있다고 했다. 그러나 C 사는 휴업수당이 정산합의서에 포함돼 있지 않다고 맞섰다.
A 씨 등은 B 사 대표를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고소했다. 동시에 공단 도움을 받아 임금 지급 청구 소송도 제기했다.
B 사 대표는 형사재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도급업체와의 합의 이후 휴업수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된다고 판단할 만한 이유가 있었다면서 법 위반의 고의가 있지 않다고 본 것이다.
반면 민사재판에서는 B 사 대표가 밀린 휴업수당과 퇴직금 전액을 지급해야 한다는 판단이 나왔다. 소액 사건이어서 판단 이유가 자세히 담기지는 않았다.
다만, A 씨 측은 업체 간 합의의 효력이 근로자에게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실제 A 씨 등은 B 사와 근로계약을 맺었을 뿐 도급업체와의 합의 내용은 알지 못했다.
A 씨 측을 대리한 박범진 공단 변호사는 "형사재판에서 고의가 없다는 이유로 무죄가 선고됐을 뿐 사업주의 책임이 없어서 무죄가 된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며 "민사재판 진행 중에 관련 형사재판에서 무죄가 선고됐더라도 민사재판 결과가 반드시 형사재판 결과에 구속되는 건 아니다"라며 "다른 증거들이 있다면 민사재판에서 책임이 있다는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출처 : 2022년 05월 24일 화요일, 월간노동법률 김대영 기자
- 이전글법원, "포스코,‘공정대표의무 위반’...‘노조파괴 의혹’" 22.05.24
- 다음글2심도 대우조선해양 청원경찰 부당해고 인정 22.05.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