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2시간제·중대재해법·최저임금 등... 노동계와 곳곳서 충돌할 듯
페이지 정보

본문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20대 대통령에 당선됨에 따라 노동과 교육, 복지 등 사회 정책 분야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주 52시간 근무제 등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노동 정책들을 친기업적인 방향으로 수정하고, 연공제 중심의 임금 체계를 성과형·직무급제로 전환시키려 할 것으로 보인다.
대입 정책에서 정시 비율을 확대하고 문 정부가 추진해온 자사·특목고 폐지에도 제동이 걸릴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코로나19 대응 체제도 전면적인 개편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
주 52시간·최저임금·연공서열제 등 손볼 듯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선거 운동 기간 '경직된 노동 시장 구조를 유연화하겠다'고 강조해 왔다. 특히 문 정부 들어 도입된 주 52시간 근무제나 중대재해처벌법 등 재계의 반발이 심했던 노동관련 규제를 완화하겠다는 방침을 내비쳤다.
주 52시간제와 관련해선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정산 기간을 현행 1~3개월에서 1년으로 확대하겠다는 공약을 제시했다. 하루에 16시간을 일하더라도 다음날 하루를 쉬는 방식으로 1년 동안 평균 근무시간만 최대 52시간에 맞추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정규직을 유지하며 '풀타임'(전일제 근로)과 '파트타임'(시간제 근로)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재택근무제 등 유연 근무 방식 도입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청년 취업난과 세대별 임금갈등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연공서열 중심의 임금체계에도 메스를 들이댈 전망이다. 직원들의 업무 능력 및 성과를 등급별로 평가해 임금에 차등을 두는 성과연봉제, 낮은 직급이라도 능력을 인정받아 업무 강도와 난이도가 높은 직무를 맡으면 근속 연수·직급과 무관하게 더 높은 연봉을 주는 직무급제도 대안으로 제시했다.
최저임금제도를 개편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윤 당선인은 지난 7일 유세에서 "최저임금을 200만 원으로 잡으면 150만 원, 170만 원 받고 일하겠다는 사람은 일을 하지 못하는 것이냐"고 역설하는 등 제도 개편 의지를 수시로 밝혀 왔다. 최저임금 인상을 억제하면서 산업별, 사업장 규모별 최저임금 차별화 등을 시도할 것으로 점쳐진다.
관건은 노동계 반발이다. 이재명 후보 지지를 선언했던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은 이날 논평에서 "윤 당선인은 지지한 국민들만의 대통령이 아닌 '대한민국 대통령'"이라며 "노동의 가치를 존중하고 노동자들을 이 사회의 당당한 주체로 인정하는 정책·정치를 펼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아예 "앞으로 5년은 노동자에게는 지옥의 시간이요, 자본가에게는 꿀 같은 시간이 될 것"이라며 "윤 당선인은 이제라도 현장을 가장 잘 아는 노동자의 목소리를 듣고 구체적인 노동정책을 제시하라"고 촉구했다.
출처 : 2022년 03월 11일 금요일, 한국일보 윤태석 기자, 임소형 기자, 유환구 기자
- 이전글[단독] '왕따' 시킨 갑질 팀장에게 "회사 징계와 별도로 1000만원 배상하라" 22.03.14
- 다음글삼성전자 대표이사, 오는 18일 노조와 역사상 첫 교섭 22.03.1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