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의무고용 외면 여전…대기업 100곳 중 66곳, 공공기관 40%
페이지 정보

본문
장애인 의무고용을 해야 하는 민간기업과 공공기관 상당수가 여전히 의무를 다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15일 고용노동부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대기업·공공기관 장애인 고용현황'에 따르면, 국내 100대 기업 중 66곳이 민간부문 장애인 의무고용률인 3.1%를 달성하지 못 했다.
이는 2021년 장애인고용계획 및 실시상황보고 신고 대기업집단 사업체 중 상시근로자 기준 상위 100개소를 고용률 기준으로 정렬한 결과이다.
공공부문 역시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 작년 기준 총 721개 기관에서 장애인 근로자 2만15명이 근무하고 있으나, 그중 292개 기관(40.5%)이 의무 고용률(3.4%)을 지키지 않고 있다.
삼성, 현대, SK, 롯데, KB 등 국내 유수 대기업이 참여한 '기업체장애인고용실태조사(2020)'에 따르면, 장애인 고용의사가 없었던 주된 이유는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무가 부족하거나 찾지 못해서'이다.
특히 300인 이상 대기업·공공기관에서 응답비율이 70%까지 치솟아 이러한 문제의식이 두드러졌다. 기업 상황 때문에 부담금 납부 대상인 100인 이상 사업체 역시 65%에 달한다.
이수진 의원은 "15일 노동부 산하기관 국정감사에서 이러한 실태를 지적할 계획"이라며 "장애인고용공단이 장애인고용 및 훈련 전문기관으로서 장애인고용컨설팅 사업을 전격 확대해 장애인 일자리의 내실화 및 고용 지속 문화를 조성할 것을 주문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출처 : 2021년 10월 15일 금요일, 뉴시스 한종수 기자
- 이전글4년8개월간 돌려주지 못한 고용·산재보험 과오납금 364억원 21.10.15
- 다음글'사업주 지원' 고용안정자금, 5년간 부정수급 9배 증가 21.10.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